GA4란 무엇인가요? – 입문자를 위한 용어 해설


웹사이트 운영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GA4


웹사이트를 만들거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GA4”라는 용어를 한 번쯤은 들어봤을 거예요.
하지만 “도대체 이게 뭔데 다들 중요하다고 하지?”라는 생각, 해보신 적 있지 않나요?

사실 많은 사람들이 ‘GA4 = 구글 통계’ 정도로만 알고 있지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왜 바뀌었는지, 그리고 나와 어떤 관계가 있는지 명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GA4가 무엇인지, 왜 알아야 하는지, 기존 UA(GA3)와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등을
완전 초보의 시선에서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GA4란 무엇인가요?

GA4의 기본 개념

GA4(Google Analytics 4)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사이트 방문자 분석 도구입니다.
기존 Universal Analytics(GA3)의 후속 버전이며, 2023년 7월부터는 UA의 지원이 완전히 종료되어, 이제 GA4만 사용 가능합니다.

간단히 말해, 누가, 언제, 어디서, 어떤 경로로 사이트에 왔고, 무엇을 했는지를 분석해주는 서비스입니다.

GA4와 Universal Analytics(GA3)의 차이점

항목UA (GA3)GA4
데이터 측정 방식세션 중심이벤트 중심
플랫폼 통합웹 중심앱+웹 통합 분석 가능
맞춤 추적제한적자유로운 이벤트 설정 가능
사용자 프라이버시낮음쿠키 제한 환경 대비 설계됨

기존 UA는 세션(방문 단위)을 중심으로 데이터를 쌓았다면, GA4는 사용자 행동(Event) 단위로 기록해 훨씬 정밀한 분석이 가능해요.

왜 GA4로 전환되었는가?

크게 3가지 이유입니다.

1) 모바일 앱 트래픽의 증가
– UA는 웹 중심이라 앱 분석에 한계가 있었어요.

2) 개인정보 보호 강화 추세
– 쿠키 비활성화 환경에 대응하려면 새로운 분석 방식이 필요했죠.

3) 더 정교한 마케팅 자동화
– GA4는 구글 광고, 태그 매니저 등과 연결이 더 유연해요.

두 명의 분석가가 대형 화면에서 웹사이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모습


주요 용어 및 개념 정리

1) 이벤트 중심 분석이란?
이벤트는 사용자의 행동(버튼 클릭, 페이지 스크롤, 동영상 시청 등)을 의미합니다.
GA4에서는 세션보다 이벤트가 더 중요하게 다뤄지며, 분석의 핵심 단위가 됩니다.

2) 사용자(User), 세션(Session)의 변화
GA4는 사용자를 디바이스, 브라우저, 쿠키에 의존하지 않고 추적하려는 방향으로 설계됐습니다.
또한 세션의 정의도 UA보다 유연하게 바뀌었죠. 예를 들어 자정이 넘어도 같은 세션으로 간주될 수 있어요.

3) 실시간 리포트 기능
GA4는 실시간으로 방문자 수, 현재 접속 중인 페이지, 주요 이벤트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케팅 캠페인 중일 때는 이 기능이 아주 유용하죠.

GA4를 알아두면 좋은 이유

1) 향후 마케팅 자동화·리타게팅 연계에 필요
GA4는 구글 광고(Google Ads), 태그 매니저(GTM), 빅쿼리(BigQuery) 등과 연동이 뛰어나서
향후 광고 자동화, 맞춤형 전환 추적, 리타게팅 분석에 핵심 역할을 하게 됩니다.

2)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의 핵심 도구
비즈니스의 성패는 데이터를 읽는 힘에 달려 있습니다.
GA4는 초보자에게는 다소 복잡해 보여도, 잘만 활용하면 비용 대비 효율(ROAS)을 분석하고 최적화하는 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3) 무료지만 강력한 툴
GA4는 완전히 무료입니다.
이런 수준의 웹 분석 툴을 별도 서비스로 이용하면 보통 수십만 원 이상의 비용이 드는데, GA4는 구글이 공식 지원하는 글로벌 표준이죠.

웹사이트 트래픽과 통계 그래프가 표시된 대시보드 화면


지금은 GA4 개념 이해부터 시작할 때

GA4는 웹사이트와 마케팅 운영의 ‘새로운 기본’입니다.
기존 UA가 익숙한 분들에게는 다소 생소하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이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고, 따라잡지 않으면 뒤처질 수밖에 없습니다.

지금 당장 설치까지는 어렵더라도, 개념부터 이해하고 용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앞으로 GA4 설치법, 보고서 해석법, 마케팅 자동화 연계 등의 실전 활용으로 이어지는 가장 좋은 출발선입니다.

댓글 남기기